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7)
오픈소스 기고 - 금융관련 작년에 금융 잡지게 기고했던 오픈 소스에 대한 기고문입니다. 오픈소스 관심 증대 오늘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SS)는 기업/기관의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 확산되고 있다. 불과 수년 전만 하더라도 오픈 소스가 상용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지금은 오픈 소스가 제공하는 벤더 종속성 탈피, 유연성, 개방성, 확장성, 시장에 대한 민첩성 등의 가치가 주목을 받으면서 기업/기관의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서 이러한 오픈 소스를 선택하고 있다.기업 입장에서 오픈 소스를 사용할 경우 커뮤니티가 추진하는 혁신을 기반으로 기업이 요구하는 기능들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으며, 오픈 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얻었던 경험을 다시 공유함으로써 오픈 소스를 발전시켜 나가는 공헌을 할 수 ..
EBS(Elastic Block Storage) Sizing 1. 아티클 개요본 문서는 AWS(Amazon Web Service)의 EC2 인스턴스에 사용되는 각 스토리지의 비교와 용량 산정 및 스토리지 확장 방법에 대해 가이드한다. 2. StorageAmazon EC2에서는 Amazon Elastic Block Store(Amazon EBS), Amazon EC2 Instance Store,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를 사용할 수 있다. 2.1Amazon EBS(Elastic Block Store)Amazon EBS는 Amazon EC2 인스턴스용 영구 스토리지로써 인스턴스의 중지나 종료에 상관없이 데이터가 유지된다. 또한 EBS는 두 가지 볼륨 유형, 즉 표준 볼륨과 Provisioned IOPS 볼륨을 제공하는데 표준 볼륨은..
1년전 놀새~의 첫 휴가, 그리고 회고 오픈소스컨설팅이 생겨난 2012년 3월에 따뜻한 물도 안나오고, 화장실에 양변기 조차 없던 건물에서 시작했습니다.집기 구성부터 청소까지 스스로, 그리고 5~6월에도 추워서 히터를 틀고 있었던 첫 사무실. 장인어른에게 사업자금이라고 얻어 설립 후 남은 것은 없었습니다. 아내에게 양해를 구한 후 5개월은 퇴직금으로 살았고, 5개월은 카드론으로 살았습니다.그저 앞만 보고 달린다고 생각했고, 잘 되면 얼른 사무실 이사가야지, 그리고 이사가면 제일 먼저 화장실을 봐야지 생각했었습니다. 1년 10개월을 쉴새없이 달렸을 때 몸과 정신이 항상 붕 떠 있는 느낌이고, 잠을 자도 피곤이 가시질 않았습니다. 휴식이 필요했습니다. 2013년 연말에 office shutdown을 했었지만 그 당시 여전히 집에서 코딩을 하고 있..
정도전 명대사 중 의미있는 것들 정도전 명대사 링크(http://smnanum.tistory.com/402)가 있어 내용을 읽다가 생각나서 적어보았습니다. 1. IT트렌드를 보라 - "장님에게 등불을 쥐어 준들 길이 보이겠습니까?"2. 내공을 연마하라 - "답답하다고 먼저 찾아 가서야 쓰나. 상대가 찾아 오게 만들어야지. 타협은 그리하는 것일세"3. 야근하지 말자 - "산다고 다 사는 것입니까. 사람답게 살아야지요. 그것이 우리가 이루고자 했던 대업이었습니다" 4. BMT 이겼다고 이긴게 아니다 - "기억해 두거라. 싸움에서 가장 긴장해야 될 순간은 이겼다 싶을 때다. 해서 지금이 위기다"5. 때되면 주는 인센티브 - "내가 원하는 사람은 남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무릎을 꿇는 사람이오. 그런 사람은 밥만 제때 주면 절대 주인을 물지 ..
서비스 다운시 외국과 한국의 반응 서버 두 대를 HA로 운영하다가 한 대가 죽었다. Fail over가 잘 되어 서비스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외국:-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페일오버됐구나. 두 대 서버 다 죽는 경우를 생각해서 좀 더 견고한 아키텍처를 만들자. 한국:- 야, 업체 다 불러~! 원인 밝혀서 재발방지 마련하고, 어떤 놈이 잘못했는지 확인해서 조치해. 대부분의 외국계 기술지원 엔지니어는 명함에 개인 휴대폰 번호가 없습니다.
우리가 아는 시스템 1. 프로젝트에서 뭐 조금만 늦어질라 하면 사람 더 때려박아라고 말씀하시는 특정 인더스터리 고객님께 드리고 싶은 말 - (절대 웃자고 하는 말임)"여자 10명으로 늘어난다고 아기가 1달만에 나오는 건 아니잖아요~~" 2. "어? 상대 회사는 규모가 되는데 여기는 좀 적네요~"라고 말씀하시는 고객님께는 "혹시 면피용으로 사람이 더 필요하신 건가요?" 3. 운영 시스템 여유율을 무지하게 가져가시는 고객님께는 "아니, 사람은 100%, 200% 일하라고 시키면서 시스템은 왜 그렇게 놀게 놔두세요?" 운영에 있어서 가장 큰 두려움은 변화인 것 같습니다.
시장부터 개인까지 1.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으로 스타트업으로, 엔터프라이즈와 공공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옮겨가는 느낌 - Micro Data Center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여기서 뭘 제공해야 고객이 기분 좋아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 자동화에 대한 부분은 쉽게 해결되지 않는 숙제 - ITSM과 정책적인 부분이 발목을 잡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모니터링도 잘 될 것 같지만 쉽지 않은게 부지기수입니다. (제니퍼같은 APM 도구를 오픈소스로 만들어달라는 고객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3. 회사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부분은 기존부터도 당장의 방향성으로 잡지는 않고 있는데 회사 Jerry 이사님과도 얘기했던 것이지만 축적된 데이터가 있어야 분석을 하지요.(매일같이 로그분석만 할까요?) IoT가 나와서..
종업원, 직원, 동료, 그리고 가족 회사에 다니는 회사원을 각기 다른 입장에서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많이들 부릅니다. 종업원, 직원 vs 동료, 가족 여러 형태로 나오는 단어이긴 한데, 말이란게 참 이상해서 어감이 각각 다릅니다. 위의 단어들을 고려해보면 말하는 입장은 상관이 없습니다. 듣는 입장이 중요합니다. 모든 구성원이 회사에서 이익이라는 목표를 향해 같이 고생하고 일하게 됩니다. 아무리 고용주 입장이라고 해도 내 동료, 내 식구, 내 가족이라는 표현과 함께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예전에 같이 일했던 몇몇 분들(고용주도 있고, 관리자도 있습니다)을 보면 같이 일하는 동료나 후배들을 자기 이익을 취하기 위한 부속품으로 여긴 적이 있었습니다. 좀 심하게 말하자면 그냥 철저하게 이용하고, 쓸모없으면 버리는 그런 것..